발걸음/산행기록

제 1281차 산행 구덕산 일주(승학산~구봉산)

갈파람의별 2017. 7. 10. 21:25

승학산[乘鶴山 497m],  구덕산[九德山 565m] , 시약산[時藥山 510m]  엄광산[嚴光山 504m] 

구봉산[龜峯山 431m]

 

위  치 :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상구, 서구, 부산진구, 동구, 중구

일  시 : 2017년 7월8일(토요일) 친한 님들과

날  씨 : 흐린날씨 가끔 빗방울...습도 최고로 높았던날

산행코스 : 하단역11번 출구~승학산~돌무지봉~억새평원~구덕산480봉~구덕산~시약산~구덕꽃마을~엄광산~구봉산~

               중앙공원

 

[승학산]고려 말 승려 무학이 전국을 다니면서 산세를 살피다가 이곳에 이르러 산세를 보니 마치 학이 날아오르는 듯하다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사하구당리동,하단동 와 사상구엄궁동 학장동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세계적인 철새 서식지 및 도래지인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와 낙동강 삼각주 지형 및 경관을 조망할 수 있으며, 정상 부근에는

수만 평에 이르는 억새밭이 펼쳐져 있다. 주변에는 동아대학 하단캠프스와 에덴공원이 있다

 

[구덕산]사상구 학장동와 서구 서대신동 경계를 이루는 산 으로 옛 이름은 사병산(四屛山)이라 한다

동남쪽 사면에서 보수천이 발원하며, 동쪽 산록에는 부산 최초의 상수도 급수원인 구덕수원지가 있었다.

부산장 과 구포장 사상장을 왕래하는 교통로였던 구덕령이 있으며, 이곳에 구덕터널이 개통되어 있다. 산록에 구덕 마을이 있다.

북쪽 사면에는 학장천이 흐르며 그 기슭에는 구덕사가 있었다고 한다. 승학산과 구덕산에 이르는 제석 계곡은 경치가 아름다워

등산객들과 시민들이 즐겨 찾고 있다.

[시약산]은 사하구 괴정동에 있는산으로 ‘시(蒔)’ 자는 한자로 ‘모종낼 시’, ‘풀이름 시’를 사용한다.

명확하게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는 없지만, 약초를 심거나 채취한 곳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산 정상에는 기상 관측 레이더가 있고, 시약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이 정자에서 내려다보면 낙동강 하구 일대와 부산항이 한눈에

조망된다.

[엄광산]은 서구 동대신동, 사상구 주례동, 부산진구 개금동, 동구 수정동,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고원견산이라 불리기도 하는

데 이 명칭은 "산이 높아 멀리까지 볼 수 있다."는 뜻으로 일제시대부터 불려진 이름이다. 엄광산은 얼마 전까지 고원견산으로

불리던 산인데 "부산광역시을 가꾸는 모임"이 지난 95년 4월에 엄광산(嚴光山)이라는 이름을 찾아주고 정상표지석을 세웠다.

주변에는 동의대학교, 인제대학교,동서대학교, 경남정보대학, 동아대학 구덕캠퍼스가 자리하고 있으며, 정상에서 바라본 부산항

의 전망이 좋기로 이름나 있다.

또한 산림이 울창한 대신공원이 있어 부산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구봉산]은 동구 초량동과 서구 동대신동 중구 보수동 경계를 이루는산으로1725년(영조 1) 천마산에서 옮겨온 구봉봉수대

복원되어 있고 부산시민공원 이 있다.

산 남쪽 사면 아래에는 시민들의 휴식과 산책을 위한 중앙공원과 민주공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