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걸음/산행기록

제 948차 산행 단양 도락산

갈파람의별 2013. 10. 14. 09:35

 

도락산은 소백산과 월악산의 중간쯤에 형성된 바위산으로 현재 일부가 월악산 국립공원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

산을 끼고 북으로 는 사인암이 서로는 상선암, 중서암, 하선암등 이른바 단양팔경의 4경이 인접해 있으므로 주변경관이

더욱 아름다우며능선에는 신성봉, 채운봉, 검봉, 형봉 등의 암봉이 성벽 같이 둘려 있다.

널따란 암반에 직경 1m 정도 웅덩이 같이 파여 있는 신선봉은 도락산에서 전망이 제일 좋은 곳으로

암릉을 오르내리는 재미 또한 각별하며 등산 시기는 가을 산행지로 딱이다.

http://wwl1406.daum.net/Mail-bin/view_submsg3.cgi?TM=jOi5o%2BGuQw0AAIpEa23SA1SADEaAToTR%2BTWgYHgKCpnTmMuPQQgnlVbm1DZg7%2FvXMdw69aIGXWSQzMjPJEAVF8cw0Yo3zWQh3dOg9yspGYeMP4utw151l5z6PekFDT5iokvdwVCS2CiVi3kLJZC44Tm307BWdy0QI%2BUOSdNU5nbrn2g5hiJrG50RVfAu7hHF0XSEPehpUriZxVnlvtL%2BvIk3t0u4pXqvKSQmrtG%2B3k682ioenSessOhmG6jYOe0kMApOW%2BHODZFGzVQ%2FG3FiWSuanQM45h9PFRGnlu85DgsBr4AKoxuJwki5Nq0EgDCyCvc%2ByCFogAg7MSY12ZCuxeEsvIZHojjYXyZHXP14nMFIkKV9GVWbSeZrLbrXqQq%2FlrHnPx30mns1UCyKh%2BFP3KvxplZNg%2FIb92gKEnzewxLj0ZXzd6UDaOZeQMVSVDZnQ9oytqN5dvBBpavCoBKeU9nFGZFFsBoeJv8t%2BB9CcjNlGo6iuqY9UsPh7sYtEgfKu3Xc2HzLK3wGSNMiS5VK%2F3smC%2BU8VNg%2Fd%2F25a0y3DHaQT1Vt6MCMJH4Gst4RyToLTfcIBaQx6tupOKF92Y6WrhkorluM1DULGrzcKwbwcbkuI9RWt8BgxMPJqesj5ltsKOw8O22%2BXQ%2F2A0MDd1vzWf6M9sW9Yftd&encoding=UTF-8&MSGID=000000000000qsH&pos=933103&bodylen=454162&realname=image003.png&contenttype=image/png&attnum=14&attid=0.0.3

위 치 : 충북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

 

 

일시 : 2013 10 12() 8시 출발   

목적지 : 문경 도락산(965m)

코스 상선암 상봉 제봉 도락산 삼거리 형봉 내궁기 삼거리 도락산  내궁기 삼거리 형봉

 – 채운봉 검봉 큰선바위 작은선바위 상선암

KT연합팀35명과 함께

날 씨 : 구름한점없이 맑은 가을날 

단양은 영춘 청풍 제천 등과 함께 내사군으로 불리며 이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는 청풍명월의 고장 도락산은

소백산과 월악산의 중간쯤에 형성된 바위산으로 현재 일부가 월악산 국립공원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

산을 끼고 북으로 는 사인암이 서로는 상선암, 중서암, 하선암등 이른바 단양팔경의 4경이 인접해 있으므로

주변경관이 더욱 아름다우며 궁터골에는 명소 사모폭포가 있다.

 

능선에는 신성봉, 채운봉, 검봉, 형봉 등의 암봉이 성벽 같이 둘려 있다. 널따란 암반에 직경 1m 정도 웅덩이

같이 파여 있는 신선봉은 도락산에서 전망이 제일 좋은 곳으로 이곳에 서면 황정산, 수리봉, 작성산(황장산),

문수봉, 용두산 등이 펼쳐 보인다. 등산 시기는 가을, 여름, 봄 순으로 좋다.

 

도락산 산행은 경관이 좋고 암릉을 오르내리는 재미 또한 각별하지만 초심자들에게는 결코 만만치 않은 산이다.

 

주변볼거리

단양팔경, 석문, 고수동굴, 노동동굴, 천동동굴, 온달산성, 구인사, 다리안국민관광지, 단양유황온천

 

http://www.koreasanha.net/map/lsu/map/image/sanha-Lsu-doragsan.jpg,도락산 [道樂山] 965m
충북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