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걸음/산행기록 1693

제 1601차 산행 해운대 장산

장산 중봉[中峰 403m] 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일시 : 2020. 08. 29(토요일) 푸르나님들 10여명과함께 날씨 : 매우무더움(폭염주의보) 산행코스 : 벡스코역~유격장~중봉~8부능선~억새밭~대천계곡~좌동 특징, 볼거리 부산사람이라면 하루에 한번쯤은 보고 지나치는 산이 장산이다. 하지만 부산시민들 가운데 장산을 올라 본 사람은 많지 않다. 주말에는 가족을 동반한 산행객들도 눈에 띈다. 장산에 올라 본 시민들은 도시안에 터잡고 있으면서도 지금껏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음에 놀란다. 오랜 기간 군부대가 주둔해 입산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장산의 등산로는 다양하게 열려져 있다. 해운대구 반여 반송 우동 중동 신시가 지 아파트단지 등 어느 곳에서나 접근이 가능하고 산행코스도 많다. 또 5-6부 능선상에는..

제 1600차 산행 뒷산 시약산

시약산[蒔藥山 510m] 위치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일시 : 2020. 08. 25.(화요일) 나홀로 날씨 : 매우 무더웠던날 산행코스 : 사릿골~세릿골약수터~자갈마당~시약산~시약정~구덕문화마당~꽃마을 특징, 볼거리 시약산의 ‘시(蒔)’ 자는 한자로 ‘모종낼 시’, ‘풀이름 시’를 사용한다. 명확하게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는 없지만, 약초를 심거나 채취한 곳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약산은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서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산 정상에는 기상 관측 레이더가 있고, 시약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이 정자에서 내려다보면 낙동강 하구 일대와 부산항이 한눈에 조망된다. 시약산 밑으로 서구와 사하구를 잇는 대티 터널이 통과한다.

제 1599차 산행 밀양 구만산

구만산 [九萬山 785m] 위치 : 경남 밀양 산내면 일시 : 2020. 08. 23.(일요일) 등산바람 친구들 10여명과 함께 날씨 : 매우무더움 산행코스 : 가라마을~약물탕~구만폭포~구만산~가인계곡~인곡마을 특징, 볼거리 육화산(六花山.647.9m)과 구만산(九萬山.785m)은 부산사람들 뿐만 아니라 울산 마산 대구 등지서도 많이 찾는 산이다. 행정구역상 육화산은 경북 청도군 청도읍, 구만산은 경남 밀양시 산내면에 속한다. 이 산을 찾는 사람들의 주 산행코스는 경북 청도군 청도읍 내리 안내동에서 육화산 정상을 거쳐 구만산으로 가다 통소계곡으로 하산하기도 하고 거꾸로 산행하기도 한다. 이 두 산을 종주하더라도 거의 육화산에서 구만산 정상을 거쳐 봉의저수지로 하산한다. 육화산 정상(지도상 번)에는 표지판..

제 1598차 산행 강원태백 정선 금대봉 대덕산

금대봉[1,418m], 대덕산[1307m] 위치 : 강원 태백, 정선, 삼척 일시 : 2020. 08. 22. (토요일) 푸르나님들 40여명과함께 날씨 : 구름 비교적 덜 더웠슴 산행코스 : 두문동재(싸리재)~금대봉~분주령~대덕산~검룡소~주차장 특징, 볼거리 금대봉은 해발 1,418m 로 정선군 고한리와 태백시 창죽동과 화전동 사이에 솟아 있다. 산중에는 주목을 비롯하여 각종 원시림이 빽빽히 차 있고 창죽마을의 진산이다. 이 산은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와 용소,제당굼샘을 안고 있는 의미 깊은 산이다. 금대(金臺)란 말은 검대로 신(神)이 사는 곳이란 뜻이다. 또한 금이 많다고 하여 금대라고 한다. 산상의 야생화원이라 불리우는 자연생태계 보존지역이 있다. 금대봉(1418.1m)과 대덕산(1307...

제 1597차 산행 부산 철마산

철마산[鐵馬山 605m], 서봉[574m] 위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 일시 : 2020. 08. 18.(화요일) 혼산 날씨 : 폭염경보 산행코스 : 임기마을버스종점~지장암~서봉~철마산~소산봉아래임도~소산마을~수도암~홍련폭포 특징및 볼거리 [명칭 유래] 철마산(鐵馬山)은 『해동 지도(海東地圖)』[1750년대]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1861]에 모두 위치와 지명이 묘사되어 있다. 철마산의 명칭은 옛날 대홍수가 나서 바닷물이 밀려 올라와 철마면 일대가 물속에 잠기자 동해의 용왕이 곽암(藿岩)의 용굴에 사는 용마(龍馬)에게 명을 내려 홍수를 다스리게 하였다고 한다. 용마는 홍수를 물리치고 나자 물이 없어 용궁으로 환궁하지 못해 햇볕에 말라 점차 굳어져 쇠 말이 되었다고 전한다. 이 쇠 말이..

제 1595차 산행 구덕산 시약산

시약산[蒔藥山 503m], 구덕산[九德山 565m] 위치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장동 일시 : 2020. 08. 14(금) 나홀로 날씨 : 무지무지 더웠음 산행코스 : 동주대입구~사릿골약수터~박씨묘~시약정~시약산~구덕산~만남의장소~구덕휴양림~구덕운동장 특징, 볼거리 시약산은 사하구(괴정동)와 경계를 하고 있다. 정상에는 구덕기상레이더관측소가 있다. 이 산 밑으로는 서구와 사하구를 연결하는 대티터널이 뚫려있고, 사하구로 흐르는 괴정천은 이 시약산에서 발원하고 있다. ‘시(蒔)’ 자는 한자로 ‘모종낼 시’, ‘풀이름 시’를 사용한다. 명확하게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는 없지만, 약초를 심거나 채취한 곳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구덕산은 높이는 5..

제 1594차 산행 울산 옥녀봉과 국수봉

옥녀봉[447m], 국수봉[603m] 위치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범서읍 일시 : 2020. 08. 11(화요일) 상엽이와 둘이서 날씨 : 폭염주의보 가끔흐림 산행코스 : 선바위주차장~태화강 생태관~선암사~서남쉼터~당만디~도로(서사로) 만남~정지불삼거리~당삼거리~옥녀봉~정지불사거리~‘ㄱ’자 바위~국수봉 정상석~국수봉 정상~쉼터바위~허고개~허고개 버스정류장 특징, 볼거리 - 들머리 백룡담 선바위 경치 빼어나 - 이곳부터 시작하는 ‘십리대밭’은 덤 - 갈림길 많은 초반 코스 편안하지만 - ‘서사로’ 지나면 된비알 등 본격 산행길 - 국수봉 직전 만난 ‘ㄱ’자 바위 이채 울산 울주군 국수봉은 두동면 만화리와 범서읍 척과리에 걸친 600m대 산이다. 한자로 ‘나라 국, 빼어날 수’ 정도겠지 생각했는데 알..

제 1593차 산행 엄광산

엄광산[嚴光山 504m], 구봉산[431m] 위치 : 부산광역시 서구, 동구, 부산진구, 사상구 일시 : 2020. 08. 09.(일요일) 혼산 산행코스 : 꽃마을청소년 야영장~8부능선~200계단~9부능선~정상~동봉~구봉산~구봉봉수대~엄광산 치유의숲길~삼운정약수터~꽃마을 특징, 볼거리 엄광산은 동대신동의 북쪽에 위치하여 서구와 부산진구(개금동), 동구(좌천동)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엄광산은 1995년 그 이름을 되찾기 전까지는 고원견산(高遠見山)으로 불려졌다. 고원견산이란 명칭은 일본인에 의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 산의 정상에 올라서면 대한해협을 지나 멀리 일본의 쓰시마 까지 바라 볼 수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은 아닌가 싶다. 서대신동 꽃마을은 옛날 이 곳에는 조그마한 주막집이 몇 채 있..

제 1592차 산행 밀양 북암산~사자바위봉

북암산[806m], 문바위[884m], 사자바위봉[924m] 위치 : 경남 밀양시 산내면 일시 : 2020. 08. 05(수요일) 백호님들30여명과 함께 산행코스 : 가인리마을~인곡산장~북암산~문바위~사자바위봉~가인계곡~가인리마을 특징 , 볼거리 밀양시 산내면 등지의 산을 찾는 산악동호인들에겐 수리봉으로 더 잘 알려진 북암산은 지금까지 산길이 없어 산행이 불가능한 곳으로 생각해 왔었다. 능선길에 암벽이 버티고 있어 가파른 산행에 곳곳에 너덜이 자리해 자칫 잘못하다간 사고를 당하기 십상이다. 산행기점은 24번 국도상의 원서리 버스정류장. 여기서 `석골사입구'라는 입간 판이 있는 콘크리트포장로를 따라 20여분쯤 가면 석골사에 닿는다. 산행로 오 른쪽으로는 계류가 흐르고 멀리 운문산의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