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산 용장사지 “매월당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쓰며 머물던 용장사” 매월당 김시습은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이름나서 세종대왕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그러나 세조의 왕위찬탈을 계기로 방랑길에 오르게 되었고, 조선팔도를 떠돌아다니며 많은 시편과 글을 남겼다. 매월당은 용장사에서 문학적 황금.. 포 토 2016.08.08
경주 칠불사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慶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경북 경주시 남산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높이 1.9m. 보물 제199호. 절벽의 바위면을 얕게 파고, 고부조로 새긴 마애불이다. 머리에는 높은 삼면보관을 쓰고, 반가좌한 관음보살 자세로서 8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 포 토 2016.08.08
경주 금오산(남산) 삼릉계곡의 불상들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坐像)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158호(1982. 02.24 지정) 광배형의 높이 7m, 너비 5m 되는 거대한 자연 암벽에 6m 높이로 새긴 이 불상은 앉은 모습의 석가여래상(釋迦如來像)이다. 남산 의 좌불(座佛) 중에서는 가장 큰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후기.. 포 토 2016.08.08
덕주사 마애불(월악산)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堤川 德周寺 磨崖如來立像) 은 제천시한수면 월악산꼭대기 아래에 있는 높이 13m의 고려 시대 마애불로 대한민국 보물 제406호다. 덕주사 법당지(法堂址) 동쪽 바위에 조각되어 있다. 덕주사는 마의태자의 누이 덕주공주 가 건립하였다고 하나 한국전쟁때 불타.. 포 토 2016.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