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걸음/산행기록 1689

제 1907차 산행 충북 옥천 철봉산과 어깨산

해맞이산[고수봉 297.8m], 철봉산[449.5m], 망덕산[364.6m], 어깨산[441m] 위치 : 충북 옥천군 일시 : 2023년 4월 26일(수) 시호일ㆍ시나브로님과 함께 날씨 : 흐렸다가 맑았다가 바람강풍 산행코스 : 舊금강2교-해맞이산-철봉산-대약사사-라버댐 건너-도로공사-굴다리-지우대-참옻다리-망덕산-매조망대-어깨산-하늘전망대-금강3교옆 주차장 특징, 볼거리 철봉산(鐵峰山 449.5m)은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와 적하리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한국지명총람'에는 '산에 쇠가 많이 산출'되어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같은 문헌에는 다른 이름으로 '쇳봉산'이 기록되어 있는데 지명에서 '철'은 우리말 '쇠'를 훈차 표기한 것이다 어깨산(210m)은 카카오맵에 나오는 지명으로 산의 지형이 ..

제 1906차 산행 100대 명산 정선 백운산

백운산 [白雲山 883m] 위치 :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평창군 미탄면 일시 : 2023. 04. 23.(일요일) 절친 6명과 함께 날씨 : 황사땜에 조금 흐렸지만 맑은날 산행코스 : 점재교-백운산-칠족령-제장마을-제장교 특징, 볼거리 백운산은 51km에 이르는 동강의 중간지점에 동강을 따라 6개의 봉우리가 이어져 있다 동강은 강원도 정선 평창 일대의 깊은 산골에서 흘러내린 물줄기들이오대천 골지천 임계천 송천 등이 모여 정선읍내에 이르면 조양강(朝陽江)이라 부르고 이 조양강에 동남천 물줄기가 합해지는 정선읍 남쪽 가수리 수미마을에서부터 영월에 이르기까지의 51km 구간을 동강이라고 따로 이름했다 이 동강은 영월읍에 이르러 서강(西江)과 합해지며 여기서 이윽고 강물은 남한강이란 이름으로 멀리 여주 서울을..

제 1905차 산행 100대명산 비슬산 주능선

대견봉[1,035m], 조화봉[1,058m], 월광봉 [1,003m], 천왕봉[1,084m] 위치 : 대구 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일시 : 2023. 04. 20. (목요산악회 따라) 혼산 날씨 : 맑은날 (갑자기 폭염 낮최고 30도) 산행코스 : 소재사~염불사지~대견봉~조화봉~월광봉~천왕봉~도통바위~도성암~유가사 특징, 볼거리 비슬산은 대구시와 달성군 청도군에 걸쳐 산자락을 드리우고 있으며 유가사 쪽에서 올려다 보면 거대한 수직 암릉이 정상을 받치고 있는 듯 우뚝 솟아 있다 정상인 천욍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대견봉 조화봉으로 이어진다 조화봉 능선에서 서쪽으로 대견사 터 천왕봉으로 이어지며 대견봉에 팔각정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정상에서 북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앞산으로 가는 안내표시가 되어 있다 정상에서..

제 1904차 산행 부산의산 100봉 일곱번째 황령산 주변의 산

배산[盃山 256m], 백산[白山 129m], 홍곡산[126m], 샘물터산[105m], 천제산[우룡산 140m] 위치 : 부산 연제구, 수영구, 남구 일시 : 2023. 04. 19.(수) 나홀로 날씨 : 흐림 간혹 부슬비 약간 산행코스 : 연산중학-옛골공원-고분군-배산-영주암-연꽃공원 민락역-백산-옥련선원-mbc 석포초교-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문수사-홍곡산-남광시장-샘물터산-성지고교-남파랑길-신연초교-우룡산공원-천제산-대연중학-못골역 특징, 볼거리 배산(盃山) 금련산에서 북쪽으로 약 1.5km에 위치하는 산으로 해발 254m. 산지의 고도와 규모에 비해 산정 부근의 경사가 급한 것이 특징이다 동쪽에는 배산에서 삭박작용으로 분리된 해발 80m의 토곡산이 수영강과 평행하게 놓여져 있다 수영구와 연제구에 걸..

제 1903차 산행 부산의산 100봉우리 여섯번째 황령산5봉

행경산[347m], 금련산[415m], 황령산[ 荒嶺山 428m], 사자봉[400m], 갈미봉[264m] 위치 : 부산남구, 진구, 연제구, 수영구 일시 : 2023. 04. 16(일)산이좋아님들 9명과 함께 날씨 : 흐림 오후 우박과비 산행코스 : 물만골역-양동초교-행경산-금련산-황령산-봉수대-사자봉-갈미봉-바람고개-편백림-남부경찰서 특징, 볼거리 황령산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황령산로 391-39 (대연동) 황령산(荒嶺山)은 부산의 도심을 감싸며 시원하게 뻗어 내린 산맥이 초록의 울창한 숲을 선물처럼 내어준다 숲길 걷기 좋아하는 등산객들에겐 숲과 바람과 하늘을 내어주고, 야경을 즐기는 관광객들에겐 황홀한 빛의 세계를 선사해 주는 곳이다 또한 부산의 전형적인 도심의 산으로 부산진구 남구 수영구의 경계를 ..

제 1902차 산행 부산의산 100봉우리 다섯번째 녹산봉화산

노적봉[의성봉 244m], 봉화산[327m]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일시 : 2023. 04. 14.(금) 윤기와 성태랑 함께 날씨 : 흐리고 비 산행코스 : 성산-의성봉-봉화산-구량동 특징, 볼거리 무슨 일이 있어도 일주일에 한 번은 산에 올라야 직성이 풀리는 산꾼들도 사석에서 가끔 농담으로 이런 이야기를 한다 모처럼 늦잠을 잔 일요일 오전에도 부담없이 오를 수 있는 고즈넉한 부산의 숨은 산이 어디 없을까 하고 금정산 등 주말이면 사람들이 대거 몰리지 않고 주변 조망이 탁트인데다 산세 마저 험하지 않아 가족들과 함께 오를 수 있으며 더욱 좋은 그런 산 말이다 지도를 펴놓고 부산의 봉우리들을 훑은 결과 부산의 서쪽 끄트머리인 강서쪽에 눈길이 간다 국토의 서쪽 혹은 서북쪽에서 달려온 봉우리들이 ..

제 1901차 산행 부산의산 100봉우리 네번째 갈미봉 달음산 월음산

갈미산[316m], 달음산[588m], 월음산[424m] 위치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일시 : 2023. 04. 10. (월) 윤기 성태와 함께 날씨 : 맑은 봄날 산행코스 : 옥정사- 안부- 갈미산-달음산-월음산- 광산마을-좌천 특징, 볼거리 달음산(達陰山)은 기장군 장안읍 좌천 서쪽에 있는 산으로 정관면과 일광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서쪽으로는 천마산 함박산 문래봉을 지나 백운산(白雲山)에 이어진다 문헌기록인 기장읍지에는 취봉산(鷲峰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동해에서 솟아오르는 새벽빛이 가장 먼저 이 산봉우리를 비춘다는 달음산은 기장지역의 산지 중에서 어미산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원적산이 동으로 그 산맥이 뻗어내려 백운산을 이루고 다시 동으로 뻗어내려 동해에 맞대면서 크게 높게 뭉치면서 달음산..

제 1900차 산행 고성ㆍ통영 벽방산

고성 벽방산(碧芳山 650m) 위 치 : 경남 고성군 거류면, 통영시 광도면 일 시 : 2022. 04. 09.(두번째 일요일) 산이좋아 정기산행 날 씨 : 맑음 산행코스 : 안정사~가섭암~의상암~벽방산~안정치~천개산~안정사 특징, 볼거리 경남 고성군 거류면과 통영시 광도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시원한 전망의 암봉 등 풍경이 어디하나 빠지지 않는 산이다 벽방산은 벽발산(碧鉢山)이라고도 부른다 석가의 십대 제자 중 한사람인 가섭존자(迦葉尊者)가 벽발(碧鉢 : 바리때)을 받쳐 들고 있는 모습과 닮아서 생긴 이름이다 정상은 상봉 또는 칠성봉 이라고도 부르며 정상 부근에는 진달래가 많아 4월 중순이면 절정을 이룬다 정상 조망은 다도해를 비롯해 부산 앞바다가 보이며 맑은 날에는 대마도와 지리산까지도 볼 수 있다

제 1899차 산행 창원 천주산

천주산용지봉[天柱山 龍池峰 641 m], 천주봉[天柱峰 485m] 위치 : 경남 창원시 일시 : 2023. 04. 04(화요일)윤기ㆍ성태와함께 날씨 : 맑았다 점점 흐려짐 산행코스 : 달천계곡-달천고개-용지봉-진달래군락 -만남의광장-천주봉-달천계곡 특징, 볼거리 창원시와 함안군 칠원면에 걸쳐 있는 천주산은 『하늘을 받치고 있다는』뜻을 가진 산으로 청룡산 담산 작대산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주봉우리는 용지봉(龍池峰)으로 주변 일대에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창원시 함안군 정상에서 2개 시군이 만난다 작대산과 상봉을 가운데 두고 북릉과 이어진다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허목(許穆)의 글씨를 음각한 달천동(達川洞)이라는 글자가 달천계곡 암벽에 새겨져 있고 매년 봄이면 북면 주민들이 주최하는 진달래축제가 열린다 ..

제 1898차 산행 수우도 은박산

은박산[196m] 위치 : 경남 통영시 사량면 일시 : 2023. 04. 02(화) 고운님들과 날씨 : 너무 깨끗하고 나른했던날 산행코스 : 수우마을-고래바위-신선대-해골바위- 금강봉-은박산-수우마을 특징,볼거리 수우도는 경상남도 통영시 사량면 돈지리에 속한 섬으로 한려수도와 남해를 잇는 수로의 요충지로서 주위에는 윗섬 아랫섬이 있다 섬의 형태가 소처럼 생기고 동백나무 등 나무가 많아 나무 수(樹) 소 우(牛)자를 합쳐서 예로부터 수우도라고 불렸다고 한다 최고지점인 은박산은 섬의 중앙부로 해발 189m이며 남쪽 사면은 급경사이나 북쪽 사면은 비교적 완경사를 이룬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해안으로 높은 해식애가 발달해 있으며 아열대성 식물이 자라며 동백나무와 풍란이 자생한다 주민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며 농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