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걸음/산행기록 1689

제 1737차 산행 구미 냉산(태조산)

냉산(冷山 692m) 위치 : 경북 구미시 해평면 일시 : 2021. 10. 21. (목) 나홀로 날씨 : 맑은날 산행코스 : 도리사 버스정류장~서대~도리사~냉산~금수굴~태조산정~산악레포츠공원~도리사버스정류장 특징, 볼거리 냉산은 구미 해평면, 도개면, 군위군 소보면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아담한 산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산이다. 냉산은 일명 `태조봉(太祖峰)'이라고도 한다. 고려 태조가 견훤을 정벌하기 위해 축성한 숭신산성이 있고, 산 초입에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한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 도리사가 유명하다. 산행기점은 시내버스 종점인 도리사 제1주차장이다. 도리사를 향한 절길을 따라 걸으면 제2주차장을 지나 30분이면 도리사에 도달한다. 해발 약 460미터인 도리사 법당 입구에 선 안내판 맞..

제 1736차 산행 장산

장산[634m] 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일시 : 2021. 10. 17.(일요일) 산이좋아님들7명과 함께 날씨 : 맑음 산행코스 : 벡스코역~성불사~합장바위~장산~장군바위~너덜길~대천공원 특징, 볼거리 부산사람이라면 하루에 한번쯤은 보고 지나치는 산이 장산이다. 하지만 부산시민들 가운데 장산을 올라 본 사람은 많지 않다. 주말에는 가족을 동반한 산행객들도 눈에 띈다. 장산에 올라 본 시민들은 도시안에 터잡고 있으면서도 지금껏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음에 놀란다. 오랜 기간 군부대가 주둔해 입산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장산의 등산로는 다양하게 열려져 있다. 해운대구 반여 반송 우동 중동 신시가 지 아파트단지 등 어느 곳에서나 접근이 가능하고 산행코스도 많다. 또 5-6부 능선상에는 장산의 허리를 한바퀴 도..

제 1735차 산행 경주 동대봉산에서 무장봉까지

동대봉산[691m], 무장봉[624m] 위치 : 경북 경주시 황용동, 암곡동 일시 : 2021. 10. 15.(금요일) 나홀로 날씨 : 가끔흐림 하산중 약간비 산행코스 : 시부거리~동대산~무장봉~무장사지~암곡 경주터마널~시부거리 버스이용 암곡~경주터미널 버스이용 특징, 볼거리 동대봉산은 경주 엑스포 행사장에서 동쪽으로 높이 올려다 뵈는 산이다. 경주에서 감포로 이어지는 4번 국도의 추령터널을 통과하려면 그림같이 펼쳐지는 덕동댐을 굽이 굽이 돌아서며 차도가 이어진다. 이 덕동댐 재방 아래에서 올려다 보이는 수더분하게 생긴 산이 바로 동대봉산이다. 동대봉산 동쪽 골짜기 아래로 황룡사라는 절이 있어 한때 황룡산으로 불려 졌었다고 한다. 찾는 이가 거의 없는 관계로 막상 산행을 하려면 산행로가 상당히 단조로운 ..

제 1734차 산행 승학산

승학산 둘레길 위치 :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상구 서구 일시 : 2021. 10. 11.(월요일) 성태, 윤기와 함께 날씨 : 맑음 산행코스 : 동아대학교 ~불심약수터~엄궁아파트~승학산380봉~거북약수터~편백림치유의숲~꽃마을 특징, 볼거리 승학산은 부산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산으로, 구덕산과 시약산의 서쪽이며 엄광산의 남쪽으로 사하구 당리동의 뒷산이다. 흔히 동아대 뒷산으로 불린다. 승학산은 고려말 무학대사가 전국을 두루 돌아다니며 산세를 살폈는데 이곳에 오니 산세가 준엄하고 기세가 높아 마치 학이 나는 듯하다 하여 승학산이란 이름을 붙였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승학산은 억새가 아름답기로 이름이 나 있다. 억새군락은 승학산 동쪽 제석골 안부에 있다. 수만평에 이르는 부산 제1의 억새밭이다. 바람 따라 ..

제 1733차 산행 구룡산에서 100대명산 화왕산 까지

구룡산[741m], 관룡산[754m], 화왕산[火旺山 758m] 위치 :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군립공원] 일시 : 2021. 10. 09(토요일) 푸르나회원들 20여명과 함께 날씨 : 맑음 산행코스 : 노단이마을~ 구룡용아능 1봉~3봉~구룡산~관룡산~화왕산성동문~화왕산~서문~남문~옥천 특징, 볼거리 창녕읍에서 바라보면 기암 절벽 같은 바위들로 병풍처럼 별쳐진 산이 시야에 들어 온다. 화왕산에 관룡산으로 이어지는 화왕산군립공원이다. 화왕산은 오래전 화산이 폭발하여 형성된 산이라고 한다. 분화구였던 곳에는 3개의 연못이 남아있고 인근에는 창녕조씨 시조가 여기서 탄생했다는 득성비가 있다. 분화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평원에는 둘레만 십리에 이른다는 억새군락이 장관을 이루고 경계면을 따라 가야시대 때 축성한 것으로..

제 1732차 산행 금정산 상계봉

금정산 상계봉[640m] 위치 : 부산북구 화명동 일시 : 2021. 10. 05. (화요일) 성태 윤기와 함께 날씨 : 맑은날 산행코스 : 화명그림아파트~화산능선~수박릿지B~베틀굴~수박릿지A~상계봉~상학초교 특징, 볼거리 상학산은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에 소재한 봉이다(고도 : 640m). 고시 지명은 상학산이나, 지역에서는 상계봉으로 부른다. 금정산의 봉우리의 하나이다. 산 정상에서는 낙동강 물줄기는 물론 멀리 김해평야와 김해시가 한눈에 바라다 보이는 경관이 수려한 산봉우리이다. 상계봉을 이루고 있는 화강암은 기계적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성채 모양의 크고 작은 기반암이 노출되어 있다. 등바위·베틀굴·영감바위·할멈바위 등이 있다. 상계 지명은 이곳에 닭과 관련된 전설이 많아 유래된 것으로 전한다. 학과 ..

제 1731차 산행 100대명산 운문산

운문산[雲門山 1195m], 비로봉[727m], 함화산[1,108m] 위치 : 경남 밀양시산내면, 경북 청도군 운문면 일시 : 2021. 10. 02.(토요일)나홀로 날씨 : 맑은날 산행코스 : 석골사~비로암랏지~비로봉~운문산~함화산~정구지바위~석골사 특징, 볼거리 영남지방에 해발 1000m가 넘는 운문산, 고헌산, 가지산, 천황산, 간월산, 신불산, 취서산, 문복산 등의 준봉이 일대 산군을 이루며 솟아 있는데 이 산군을 알프스에 비길만큼 아름답다는 뜻으로 영남알프스라 한다. 영남알프스 산군 중 경관이 가장 아름답다는 운문산(1,195m)은 영남 7산의 하나인 명산으로 웅장한 암봉과, 기암괴석, 울창한 수풀이 심산유곡을 이루고 있다. 거찰 운문사와 폭포로 이어지는 학심이골 계곡이 있고 남쪽에는 석골사를 ..

제 1730차 산행 금정산 일원

원효봉[687m], 의상봉[641m] 위치 :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래구 일시 : 2021. 09. 29.(수) 성태, 윤기와 함께 날씨 : 맑음 산행코스 : 범어사~남근석~금샘~천지샘~북문~원효봉~의상봉~주먹바위~산성마을 특징, 볼거리 금정산성 : 사적 제215호(1971년 2월 9일 지정)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금정산성. 백두대간의 꼬리 끝자락에 해당하는 부산 금정산에는 신라 문무왕 때의 고승 의상대사가 창건했다는 고찰 범어사가 있을 뿐 아니라 삼국시대에 축조된 금정산성이 있다. 동래온천장 서북쪽 금정산(801.5m) 정상에 위치한 금정산성은 동래부 및 양산, 기장의 피난겸 항전성으로 전장 17,337m, 높이 1.5∼3m, 면적 약 8,213㎢에 이르는 산성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제 1729차 산행 거제 11대명산 산방산

대봉산[460m], 산방산[507m] 위치 : 경남 거제시 둔덕면 일시 : 2021. 09. 26.(일요일)등산바람 친구들 10여명과 함께 날씨 : 흐림 산행코스 : 옥산치~대봉산~산방산~부처굴~보현사~산방비원 특징, 볼거리 둔덕면 동편에 위치한 산방산(해발 507.2m)은 서쪽으로 고려 의왕이 거처했던 후두보산성과 마주하고 있으며, 산 입구에는 우리나라의 명시인 청마 유치환선생의 생가(生家)가 있고,산골짜기에는 보현사가 자리잡고있다. 산정상부에는 암석으로 된 두개의 봉우리가 형제처럼 우뚝 솟아 사방으로 그 위용을 자랑하고 있고, 이들 암석은 능선을 따라 산중 복부까지 이어져 내려 오면서 군데군데 튀어나와 작은 바위 봉우리를 만들고 있다. 그외 아랫부분은 푸른 해송림으로 감싸고 있어, 이 산을 바라보고 ..

제 1728차 산행 100대명산 금정산

고당봉[金井山 姑堂峰 802m], 미륵봉[712m] 위치 : 부산광역시 북구, 금정구 청룡동 일시 : 2021. 09. 23.(목요일) 성태와 윤기와 함께 날씨 : 맑은 가을날 산행코스 : 금곡주공~불암사~고당봉서능~고당봉~범어사 특징, 볼거리 금정산은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산으로, 주봉(主峰) 인 고당봉은 낙동강 지류와 동래구를 흐르는 수영강(水營江)의 분수계를 이루는 화강암의 봉우리이다. 북으로 장군봉(727m), 남쪽으로 상계봉(638m)을 거쳐 백양산(642m)까지 산세가 이어져 있고 그 사이로 원효봉·의상봉·미륵봉·대륙봉·파류봉·동제봉 등의 준봉이 나타난다. 산세는 그리 크지 않으나 곳곳에 울창한 숲과 골마다 맑은 물이 항상 샘솟고 화강암의 풍화가 격렬하여 기암절벽이 절묘하여 부산이 자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