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걸음/산행기록 1689

제 1767차 산행 노자산에서 왕조산까지

노자산[老子山 565m], 가라산[加羅山 585m], 왕조산[414m] 위치 : 경남 거제시 동부면, 남부면 일시 : 2022. 02. 17. (목) 해송산악회따라 가서 혼산을 했음 날씨 : 맑은 겨울날 산행코스 : 부춘리고개~노자산~마늘바위~선녀바위~가라산~코끼리바위~탑포재~왕조산~저구리 특징, 볼거리 노자산은 거제시 동부면 구천, 부춘, 학동을 끼고 있으며, 거제 수봉 가라산과 연결되어 있다 가을 단풍이 절경이며 세계적으로 희귀조인 팔색조가 서식하고 있다 정상의 기암괴석도 일품이며 정상에서 내려다 보는 다도해의 비경이 볼만하다 등산코스로는 자연휴양림 개설 코스와 부춘 혜양사 뒷편 코스가 있다 관광지 거제해금강, 학동해수욕장(2Km), 해금강 (16Km), 외도 (해로 15분), 문동(13Km), 명사..

제 1766차 산행 경북칠곡 가산

가산[架山 902m], 치키봉[761m] 위치 : 경북 칠곡 가산면, 동명면 일시 : 2022. 02. 13.(2주일요일) 산이좋아님들과 날씨 : 대체로 흐린날씨 봄날같았슴 산행코스~진남문~남포루~가산바위~중문~산정호수~유선대~가산~할배할매바위~치키봉~ 특징, 볼거리 팔공산 도립공원에 포함되어 있는 가산(902m)은 평탄한 고원을 이루고 있는 산인데 여기에 임진왜란 후 인조18년(1640 년) 국토방위를 위해 산성을 쌓았는데 내성과 중성,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성은 인조18년(1640년) 이명웅이 축조했고, 중성은 영조 17년(1741년) 관찰사 정익하가 쌓았고, 외성은 숙종 26년 (1700년)관찰사 이세재가 쌓았다 이곳은 유적답사를 겸한 하이킹 코스로 인기가 좋고 대구근교의 새로운 관광지로 각광 받..

제 1765차 산행 함양 대봉산(괘관산)

계관봉[1,253m], 천왕봉[1,228m] 위치 : 경남 함양 병곡면, 지곡면, 서하면 일시 : 2022. 02. 09(수요일) 친구 상엽이외 4명 함께 날씨 : 맑음 봄날같았음 산행코스 : 함양 대봉산산삼 휴양밸리~억새밭~안부~헬리포트~계관봉~천왕봉~임도~MTB3코스~함양 대봉산산삼 휴양밸리 특징, 볼거리 괘관산은 중앙지명위원회의 지명정비결과에 따라 2009.4.7. 대봉산(천왕봉,계관봉)으로 변경되어 정상 표지석 등도 모두 바뀌었다. (괘관산 → 대봉산, 계관봉),(천황봉 → 천왕봉) 대봉산은 과거 괘관산이라 불렸으나, 대통령과 같이 큰 인물이 날 수 있도록 산이름이 정비되었으며, 천황봉은 천왕봉, 괘관봉은 계관봉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대봉산은 백두대간이 지나가는 백운산의 동쪽 지맥선상으로 소백산맥..

제 1764차 산행 영축산

영축산[靈鷲山 1,081m] 위치 : 경남 양산 하북 원동면, 울산 울주 상북 삼남면 일시 : 2022. 02. 06(일요일) 산이좋아 6명과 함께 날씨 : 맑았다 조금 흐렸다 비교적 포근한 겨울날씨 산행코스 : 지산마을~취서산장~정상~2봉~함박등~백운암~극락암~지산마을 특징, 볼거리 양산시는 ‘영축산’과 ‘영취산’, ‘취서산(鷲棲山)’과 ‘축서산’ 등 4가지로 쓰여 혼선을 빚어왔던 통도사 뒷산의 명칭을 2001 년 1월 양산시지명위원회에서 영축산으로 통일하기로 하여 영축산으로 지명이 변경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지도에는 취서산으로 표기돼 있고 종교학대사전 등에는 영취산으로 올라있으며 법화경 언해본과 불교학 대사전, 통토사의 내력 등에는 영축산으로 기록돼 있다. 양산시는 “석가모니가 인도에서 법화경을 설파..

제 1763차 산행 100대명산 구미 금오산

황금봉[287m], 굴등봉[357m], 효자봉[526m], 엄마봉[543m], 금오산현월봉[金烏山懸月峯 977m] 위치 : 경북 구미, 김천 남면, 칠곡 북삼면 [도립공원] 일시 : 2022. 02. 03.(목요일) 나홀로 날씨 : 맑음 산행코스 : 구미여상입구~황금봉~굴등봉~효자봉~엄마봉~도수령~금오산~약사암~마애불~둘레길~성안~금오동천 ~지경마을 특징, 볼거리 경북 구미시와 김천시, 칠곡군에 걸쳐있는 금오산은 특이한 산세를 자랑한다. 정상 일대는 분지를 이루고 있으며 그 아래쪽은 칼날같은 절벽이 병풍을 이루고 있으며 산세가 가파르다. 정상부는 달이 걸린다는 정상 인 현월봉(懸月峯), 약사여래의 전설이 담긴 약사봉과 보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상 부근은 하늘로 비상하 려는 새의 모습과 비슷하기도 하고 ..

제 1762차 산행 용천지맥의 끝자락 철마산에서 망월산까지

철마산[605m], 소산봉[574m], 매암산[516m], 망월산[549m] 위치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기장군 일시 : 2022. 01. 30(일요일) 산이좋아님 5명과함께 날씨 : 맑음 산행코스 : 임기마을~묘범사~서봉~철마산~소산봉(당나귀봉)~매암산~망월산~임기저수지~임기마을 특징, 볼거리 소학대(망월산) 기장군 정관면 매학리에 있는 거대한 암산(巖山)을 매바우라 하고, 이를 소학대 (巢鶴臺 )라 한다. 백척이 넘는 층암이 깎 아 세운 듯이 우뚝 솟아 그 정상이 편편한 대를 이루고 있 는데 높이 35m, 폭 70m, 길이 250m정도 이다. 이곳을 망월산 (望月山) 이라고도 하고 망월산은 백운산의 주봉이다. 소학대의 동쪽에 있었던 망일암의 법당문을 열고 동해의 수평선에 붉은 해가 솟아 오르는 일출 ..

제 1761차 산행 울산 무룡산에서 동축산까지

매봉산[331m], 무룡산[舞龍山 451m], 마골산[299m], 동축산[290m] 위치 : 울산광역시 북구, 동구 일시 : 2022. 01. 25.(화요일) 상엽이와 둘이서 날씨 : 흐린편 산행코스 : 효문운동장~봉현재~매봉산~무룡산~정자고개(무룡고개)~양떼목장~마골산~동축산~염포동 신전마을 특징, 볼거리 무룡산은 한반도 해변에서 가장 먼저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이 울산 울주군 간절곶으로 알려진 것을 고려해 그곳에서 그리 멀지 않고 해안선에서도 가까운 무룡산 정상부 역시 간절곶과 비 슷한 시간에 새해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해운대~울산 간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부산에서 출발해도 1시간 정도면 산행 들머리에 도착할 수 있고, 등산로도 넓고 정비가 잘돼 있어 산행시작 1시간 안팎이면 정..

제 1760차 산행 안동 학가산

학가산[鶴駕山 국사봉882m], 삼모봉, 유선봉, 복지봉[524m] 위치 : 경북 안동, 예천 일시 : 2022. 01. 22.(토요일) 푸르나님들과 함께 날씨 : 맑음 산행코스 : 천주마을~마당바위~신선바위~삼모봉~유선봉~학가산~능인굴~어풍대~상사바위~당재~복지봉~광흥사 특징, 볼거리 학가산은 예천방면(어풍대)과 안동방면(국사봉)에 각각 두 개의 정상표지석이 있다. 높이도 각각이다. 지형도에는 예천방 면(어풍대)에 870m로 표기되어 있고, 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한국의산지"에는 872m로 표기되어 있다. 국사봉을 정상 으로 하면 882m이다. 학가산은 산세가 “수레를 타고 날아가는 학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학가산은 백두대간의 옥돌봉에서 분지한 문수 지맥중에서 매우 우뚝한 산으로 안동의 진산이며..

제 1759차 산행 100대명산 평창 계방산

계방산[桂芳山 1,577m] 위치 : 강원 홍천 내면, 평창 진부면 일시 : 날씨 : 눈내림 산행코스 : 운두령~전망봉~계방산~주목군락지~노동계곡~제2야영장~이승복생가~야영장 특징,볼거리 계방산은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덕유산에 이어 남한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이다. 산이 높고 크면서도 아담한 산세와 능선을 뒤덮은 산죽과 주목군락, 철쭉나무 군락, 계곡 가득히는 원시림이 들어 차 있다. 산세가 설악산 대청봉과 비슷하며, 최근 들어 이 일대가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환경이 잘 보호되어 있는 곳 이다. 능선길 주변에는 참나무 일색으로 된 단풍으로 황홀하다. 정상까지 비적설기에는 3시간 이면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정상에 오르면 백두대간의 실한 등줄기를 한눈에 볼 수 있어 인근에서는 최고의 전망..

제 1758차 산행 엄광산

구봉산[431m], 엄광산[嚴光山 504m] 위치 : 부산광역시 서구, 동구 일시 : 2022. 01. 16.(일요일) 산이좋아님들 6명과 함께 날씨 : 맑은 봄날같은 겨울 미세먼지 조금 산행코스 : 동아대학병원~대신공원~꽃동산약수터~구봉봉수대~구봉산~엄광산~꽃마을~대신공원~동아대학병원 특징, 볼거리 일제강점기부터 ‘산이 높아 멀리까지 볼 수 있다’는 뜻의 고원견산으로 불렀으나, 1995년 4월 ‘부산을 가꾸는 모임’의 ‘ 옛 이름 찾기 운동’으로 엄광산이란 이름을 되찾았다. 금정산맥 말단부에 속하며 구덕산, 구봉산과 이어져 있고 주로 안산암질의 암석으로 구성되었다. 엄광산은 주위에서 고도가 가장 높아 동구, 서구, 사하구, 북구, 해운대구 일부가 한눈에 내려다 보여 부산이 항구도시임을 실감하게 한다.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