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걸음/산행기록 1689

제 1857차 산행 장수 할미봉

할미봉(1026m) 위치 : 경남 함양 서상면, 전북 장수 계내면 일시 : 2022. 12. 03. 무경이와 등대님들과 날씨 : 흐림 산행코스 : 육십령~삼형제바위~할미봉~대포바위~임도사거리~망덕정바위~육십령 특징, 볼거리 전북 장수 계내면을 지나 함양군으로 넘어가는 육십령 고개 바로 북쪽에 솟아 있는 암봉이 할미봉이다. 전북 쪽에서 육십령 고개를 향하여 도로에서 바라보는 기암괴봉의 운치와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한 주변일대는 철이 바뀔 때 형형색색으로 변하여 오가는 사람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산행은 육십령 고개에 이르기 전에 명덕리 반송마을에서 광산도로를 따라 오르거나 육십령고개 휴게소에서 시작한다

제 1856차 산행 함양 대봉산

감투산[1,035m], 대봉산 계관봉[1,254m] 위치 : 경남 함양 병곡면, 지곡면, 서하면 일시 : 2022. 11. 29.(화) 다솜님들과 날씨 : 흐림 산행코스 : 빼빼재-감투봉-원티재-대봉산-첨산-갓골바위-3단바위-새재-운곡보건소 특징,볼거리 괘관산은 중앙지명위원회의 지명정비결과에 따라 2009.4.7. 대봉산(천왕봉,계관봉)으로 변경되어 정상 표지석 등도 모두 바뀌었다. (괘관산 → 대봉산, 계관봉),(천황봉 → 천왕봉) 대봉산은 과거 괘관산이라 불렸으나 대통령과 같이 큰 인물이 날 수 있도록 산이름이 정비되었으며 천황봉은 천왕봉 괘관봉은 계관봉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대봉산은 백두대간이 지나가는 백운산의 동쪽 지맥 선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함양군의 뒷산으로 불리는 대봉산은 옛날 빨치산의 활동거점..

제 1855차 산행 울산 무학산

무학산 [舞鶴山 324m] 위치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망성리 일시 : 2022. 11. 27.(일요일) 등산바람 친구들과 날씨 : 맑은날 산행코스 : 사일회관- 무학산- 임도- 태화강100리길- 대곡리 특징, 볼거리 만수로 산책길과 태화강 100리길, 범서 옛길을 연결하는 무학산 둘레길 학이 춤을 춘다’는 무학산하면 창원의 진산인 무학산(761.4m)을 떠올린다 그러나 울산시 울주군 범서읍에도 창원의 무학산에 비해 낮지만 같은 이름의 무학산(舞鶴山·344m)이 있다 명칭 유래 ‘무학산(舞鶴山)’이라는 명칭은 울산의 탄생 설화인 「계변천신(戒邊天神)」 설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계변천신」 설화에는 학이 등장한다 신라 말 박윤웅(朴允雄)은 울산 지역의 호족 세력으로 등장해 ‘신학성(神鶴城) 장군..

제 1854차 산행 강진 화방산

화방산[花芳山 402m] 위치 : 강진군 군동면 화산리 일시 : 2022. 11. 24. 한마음님들과 함께 날씨 : 맑은날 산행코스 : 삼화마을회관-임도-능선삼거리-형제바위-광대바위(큰바위얼굴)--화방산-호랑이굴-화방사-삼화마을회관 특징, 볼거리 아담하고 야트막한 산이지만 병풍바위, 형제바위, 광대바위 등 기암괴석이 많은 신비를 간직한 명산으로 자연이 인간에게 준 경이롭고 볼수록 감탄을 자아내게 하는 기암괴석이 세간 알려지면서 최근 화방산을 찾는 탐방객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일명 큰바위 얼굴이라고도 불리며 인간의 얼굴을 성형이라도 한 듯 꼭 빼어 닮은 광대바위는 마을 동북쪽 3㎞지점 화방산 자락 등성에 있어 마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박쥐가 서식하는 동굴인 뽁쥐굴 호랑이가 살았다는 호랭이굴..

제 1853차 산행 경남 사천 와룡산

와룡산 천왕봉[630m], 새섬봉[801m], 민재봉[799m], 까치봉[624m], 상투봉[545m], 대포산[522m], 쌍봉[501m], 용두봉[254m] 위치 : 경남 사천시 사남면 , 용현면, 벌용동 일대 일시 : 2022. 11. 20(일요일) 날씨 : 흐림 간간이 약한비 산행코스 : 용두공원주차장-천왕봉-도암재-새섬봉-민재봉-대포산-용두봉-용두공원주차장 특징, 볼거리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있는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799m로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새섬봉과 천왕봉 기차바위 등의 빼어난 암벽과 부드러운 억새 능선길 시원한 소나무 숲길을 품고 있어 여름 산행지..

제 1852차 산행 100대명산 도립공원 해남 두륜산

두륜산 노승봉[능허대 685m], 가련봉[迦蓮峰 703m], 두륜봉[頭輪峰 630m] 위치 : 전남 해남 삼산면 [도립공원] 일시 : 2022. 11. 17(목)동훈이와 함께 날씨 : 맑은 가을날 산행코스 : 오소재-오심재-암릉-가련봉-만일재-두륜봉-구름다리-진불암-대흥사 단풍길-대흥사주차장 특징, 볼거리 두륜산은 사찰, 유적지 등이 많고 한반도의 가장 남쪽 끝에 있는 산으로 난대성 상록활엽수와 온대성 낙엽 활엽수들이 숲을 이루고 억새밭이 무성하다 두륜봉 가련봉 고계봉 노승봉 도솔봉 연화봉 등 여덟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로 이루어 졌고 정상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 곳곳의 다도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두륜산은 대둔산이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산이란 뜻의 '듬'에 크다는 뜻의 관형어 '한'이 붙어 한듬- 대듬- ..

제 1851차 산행 울진 대령산에서 남수산까지

대렁산[652m], 소령산[580m], 남수산[429m] 위치 : 경북 울진군 매화면 일시 : 2022. 11. 15(화) 한마음님들과 함께 날씨 : 맑은날 구름은가끔 동해바다바람 선선했던날 산행코스 : 매화면 갈면리 284-1-대령산-소령산~457.1m봉(송이막터)~남수산표석(가진봉)~울진군농업기술센터 특징, 볼거리 대령산(大嶺山)은 금장지맥에서 분기해 소령산(小嶺山·590m), 남수산(嵐峀山·437.7m)을 잇는 산줄기의 주산 남수산(437.7m)은 군사시설이 있어 출입통제이고, 정상석은 429m봉(가진봉)에 세워져 있다 표석 뒷면에는 ‘산의 여러 돌구멍에서 아지랑이가 피어올라 남수산(嵐峀山)이라 하였다는 내용이다. * 아지랑이 람(嵐), 돌구멍 수(峀)

제 1850차 산행 100대명산 국립공원 월악산

월악산 영봉[月岳山 1,095m] 위치 : 충북 제천시 한수면 일시 : 2022. 11.13(일요일) 산이좋아님들과 날씨 : 흐림 산행코스 : 송계 동창교- 송계삼거리- 신륵사삼거리- 영봉- 신륵사삼거리 신륵사 특징,볼거리 월악산은 자못 험준하며 정상의 봉우리는 마치 석상을 둘러친 듯 바위봉으로 주봉인 국사봉으로 도 불리는 영봉(1,095m) 여름에도 눈이 녹지 않는 다는 하설봉, 용두산, 문수봉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영봉은 거대한 암봉으로 이 꼭대기에 서면 월악산 산 그림자를 담고 있는 충주호가 한 눈에 들어온다 월악산은 신라의 마지막 태자 김일과 그의 누이 덕주공주가 망국의 한을 품고 은거한 산이다. 이들 남매에 얽힌 전설은 월악산 곳곳에 남아 있다 덕주골에는 덕주사 마애불과 더불어 이들을 기리..

제 1849차 산행 100대명산 국립공원 남산제일봉

남산제일봉[南山第一峰 1,010m] 위치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 일시 : 2022. 11,06(일요일) 절친들 동훈ㆍ무경ㆍ수옥과 함께 날씨 : 봄날같은 맑은 가을날 산행코스 : 가야산 관광호텔- 남산제일봉- 청량사- 가야산소릿길황산주차장 특징,볼거리 가야산국립공원에 속하는 경남 합천군 가야면 매화산은 가야산에 버금가는 다양한 산세를 지니고 있다 흡사 금강산 축소판과 같은 산세에 날카로운 바위능선이 있는가 하면 울창한 상록수림이 녹색과 붉은색의 조화를 이루기도 한다 매화산은 가야남산·천불산이라고도 부른다 가야산의 지맥으로 산세가 웅장하며 가야산에 버금가는 다양한 산세를 지니고 있다 불가에서는 천불산으로 부르는데 이는 천개의 불상이 능선을 뒤덮고 있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 매화산의 정상인 ..

제 1848차 산행 100대명산 도립공원 괴산 조령산

조령산[ [鳥嶺山 1,017m], 신선암봉[937m] 위치 : 경북 문경 문경읍, 충북 괴산 연풍면 일시 : 2022. 11. 03. (목요일) 목요힐링과 함께 날씨 : 흐림 산행코스 : 이화령~ 조령산~ 신선암봉~ 암릉~ 문경새재 조곡관~ 주흘관~ 주차장 특징, 볼거리 조령산은 충북과 경북에 걸쳐 있는 이화령과 조령3관문 사이에 위치하며 산림이 울창하며 대 암벽지대가 많고 기암괴봉이 노송과 어울려 한 폭의 그림 같다 이화령(큰세재)에는 휴게소와 대형 주차장이 있고, 북쪽 구새재는 조령 제 3관문 (조령관)이 있으며 관문 서편에는 조령산 자연 휴양림이 조성되어 있다 주능선 상에는 정상 북쪽으로 신선암봉과 치마바위봉을 비롯 대소 암봉과 암벽 지대가 많다 능선 서편으로는 수옥 폭포와 용송골 절골 심기골등 아..